|
|
[특보 현황] 2025년 07월 10일 16시 30분 발표 (2025년 07월 10일 17시 00분 이후 발효) |
 |
○ 강풍주의보 : 전라남도(거문도.초도), 제주도(제주도북부, 제주도동부, 제주도북부중산간)
○ 풍랑주의보 : 서해남부남쪽안쪽먼바다, 서해남부남쪽바깥먼바다, 남해동부안쪽먼바다, 남해동부바깥먼바다, 남해서부서쪽먼바다, 남해서부동쪽먼바다, 제주도앞바다(제주도북부앞바다, 제주도동부앞바다, 제주도남부앞바다),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, 제주도남동쪽안쪽먼바다, 제주도남서쪽안쪽먼바다
○ 폭염경보 : 경기도(포천 제외), 강원도(횡성, 원주, 화천, 홍천평지, 춘천), 충청남도, 충청북도, 전라남도(진도, 흑산도.홍도, 거문도.초도 제외), 전북자치도, 경상북도(상주, 예천, 안동, 영주, 의성), 경상남도(김해, 밀양, 함안, 창녕, 진주, 하동, 산청, 함양, 합천), 서울, 인천(강화군,옹진군 제외), 대전, 광주, 세종
○ 폭염주의보 : 경기도(포천), 강원도(영월, 철원, 양구평지, 인제평지), 전라남도(진도, 흑산도.홍도, 거문도.초도), 경상북도(구미, 영천, 경산, 청도, 고령, 성주, 칠곡, 김천, 문경, 봉화평지), 경상남도(양산, 창원, 의령, 거창, 통영, 사천, 고성), 제주도(제주도서부, 제주도북부, 제주도남부, 제주도북부중산간, 제주도남부중산간), 인천(강화, 옹진), 대구, 부산(부산중부, 부산서부) |
[예비 특보 현황] 2025년 07월 10일 16시 30분 발표 |
 |
○ 없음
o 참고사항 o 2023년 5월 15일부터 기온과 습도를 고려하는 체감온도 기반으로 폭염특보가 운영됨에 따라
최고기온은 33℃ 미만이나 습도가 높은 경우에 폭염특보가 발표될 수 있으며,
최고기온은 33℃ 이상이나 습도가 낮은 경우에 폭염특보가 발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|
[특보 발표/해제 알림] 2025년 07월 10일 16시 30분 발표 |
 |
○ 폭염주의보 해제·폭염주의보 변경
□ 발효시각 (1) 폭염주의보 해제 : 2025년 07월 10일 16시 30분
(2) 폭염주의보 변경 : 2025년 07월 10일 16시 30분
□ 해당구역 (1) 폭염주의보 해제 : 서해5도, 강원도(평창평지, 정선평지, 강원북부산지), 경상북도(청송), 경상남도(남해)
(2) 폭염주의보 변경 : 경기도(포천), 인천(강화), 대구(군위) |
[기상정보 알림] 2025년 07월 10일 18시 10분 발표 |
<일최고기온 현황과 열대야 전망>
○ (현황) 오늘(10일)은 전국이 대체로 맑은 가운데 강한 햇볕과 동풍이 더해지면서 서쪽지역과 내륙을 중심으로 매우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
* 주요지점 일최고기온 현황(10일 18시 현재까지, 단위: ℃)
- 수도권: 양성(안성) 39.0 광탄(파주) 38.1 서울 36.2 인천 35.2 수원 34.6
- 강원도: 공근(횡성) 37.0 학성(원주) 36.1 원주 35.8 춘천 34.4 강릉 29.0
- 충청권: 홍성죽도 37.1 아산 36.8 청주 35.7 홍성 35.3 대전 34.5
- 전라권: 완산(전주) 36.8 석곡(곡성) 36.6 전주 35.9 광주 34.8 군산 34.6
- 경상권: 하회(안동) 36.4 구미 36.0 예천 35.9 안동 34.2 부산 31.8 대구 31.3
- 제주도: 한림(제주) 33.6 대정(서귀포) 33.1 서귀포 30.8 제주 28.1
○ (전망) 내일(11일)도 서쪽지역과 내륙을 중심으로 매우 무덥겠고,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있겠으니,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랍니다.
※ 열대야: 밤사이(18:01~다음날 09:00) 기온이 25℃ 이상 유지되는 현상
o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야외 활동과 외출 자제,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관리 철저
o 영유아·노약자·임산부·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건강 관리에 유의
o 실내외 작업장, 논·밭, 도로 등에서는 기상장비가 설치된 곳보다 체감온도가 더 높을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
o 야외작업장에서는 시원한 물과 쉴 수 있는 그늘 준비
o 가축(특히 가금류)이 열 스트레스를 받기 쉬우니 송풍장치를 가동하고, 축사 내부 분무장치 가동
o 집단 폐사 가능성이 있으니 가축 사육 밀도를 낮추고, 시원하고 깨끗한 물 자주 주기
o 고수온특보(국립수산과학원 발표) 발령 해역은 양식생물 질병과 폐사 발생 징후 시 관계기관 신고
o 온열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수시로 수분 섭취, 장시간 농작업·나홀로 작업 자제
o 전력량 사용 증가로 인한 에어컨 실외기 화재 및 정전에 대비, 차량에 인화성 물질 두지 않기
o 물놀이 안전사고에 주의
|
|
|